■ 주자재
주자재는 가구를 형성하고 있는 몸체 부분의 재료를 가리킨다. 가구에 있어서 목재는 재료가 풍부하고 가공의 용이와
외관의 미려함으로 인하여 가구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삼림의 무분별한 파괴와
벌채, 환경 보호로 인하여 가국에 사용되는 목재의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따라서 대체재로 합판, 보드류(MDF,
파티클보드)등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주자재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목재
⑴가구용 용재 재질
①몸통용재
. 나사못 유지력이 높아야 한다
. 횜. 충격, 절단, 할렬 강도가 높아야한다
. 접착성, 도장성, 염색성이 높아야한다
. 변색성이 없어야 한다
②심재
. 가벼워야 한다
. 수축률이 적어야 한다
. 접착성이 좋아야 한다
. 내충성이 좋아야 한다
③표면재
. 어느정도 무늬가 있어야 한다
. 할렬 강도가 높아야 한다
. 접착성이 양호해야 한다
. 착색이 용이하여야 한다
④천판재
. 염색성, 도장성, 접착성이 좋아야 한다
. 변색성이 없어야 한다
. 횜, 충격, 절단, 할렬 강도가 높아야 한다.
. 나사못 유지력이 높아야 한다
⑤서랍재
. 흡습성이 적어야 한다
. 가벼워야 한다
. 수축률이 적어야 한다
. 청결감이 있어야 한다
(2) 가구용재의 종류
.......................................................................................................................................
●
합판 (Plywood)
재래의 원목으로 만든 가구는 완전히 건조된 목재로 제작하였다 할지라도 갈라지거나 휘어서 형태가 변형되고
쉽게 파손된다. 이에 반하여 현대의 가구는 재료가 합판과 각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원목으로 만든 가구보다
튼튼하고 가볍다. 합판이란 목재를 얇은 판, 즉 단판으로 만들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층이 단판의
섬유 방향에 서로 직교하도록 홀수로 적층하여 접착시킨 판을 말한다.
(1) 합판의 장점
① 넓은 면적의 판을 얻을 수 있다.
원목으로 제재하여 폭이 넓은 판을 얻기 위해서는 원목 그 자체가 굵어야 하는데 넓은 원목을 구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합판은 적은 원가로 넓은 면적을 쉽게 얻을 수 있다.
② 자연 목재의 홈을 제거할 수 있다.
자연 목재에는 송진구멍, 썩은 부분, 갈라진 부분 등 흠없는 것이 거의 없는데 이런 흠은 목재의 물리적
성질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합판은 그 제조공정에서 홈의 부분을 제거하고 분산시켜 판을 합치기 때문에 그
재질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③ 단판의 교차 접착에 의한 수축 팽창을 줄일 수 있다. 단판에서 보통 접선 방향으로 수축 팽창이 심하여
비틀어지기 쉬운 것을 직각 방향으로 서로 교차 접착하여 합판을 만들기 때문에 수축이나 팽창을 서로 견제하여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2) 가구용 합판의 규격
합판의 규격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구 제작에는 4×8(1200×2400mm)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두께는 3, 6, 12, 15mm 등이 있는데 3mm 합판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3) 가구용 합판의 부재별 적용
① 가구의 모든 부재에 사용된다
② 무늬목 접착을 위한 대판으로 사용된다.
③ 의자의 등판 곡면 집성용 소재로 사용한다.
.......................................................................................................................................
●
중밀도 섬유판 (MDF)
중밀도 섬유판은 리그노 셀룰로오스를 고온에서 기계적, 화학적으로 처리한 섬유나 섬유다발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시켜 만든 판을 말한다. 현재 MDF는 합판이나 목재 대용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곡면가공 부분에 가공이 용이한 것이 큰 장점이다.
(1) MDF 의 장점
① 일반 목재나 합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② 합판과 동일 규격이 생산되어 가구용 주자재로서 사용이 적합하다.
③ 합판과 같이 목재의 결함인 수축, 팽창이 거의 없다.
④ 곡면 가공이 용이하여 목재 대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2) MDF의 단점
① 목재나 합판에 비해 나사못 유지력이 약하다.
② 목재나 합판에 비해 충격에 매우 약하다
(3) MDF 의 규격
MDF의 규격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합판과 같이 1200×2400mm 가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3mm, 6mm, 9mm, 12mm, 15mm,18mm 등이 있는데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4) MDF의 곡면가공
MDF는 합판에 비해 곡면가공이 우수하여 목재의 대체 곡면가공용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어떠한 형태로도
곡면가공이 가능하다.
(5) MDF의 부재별 가구 적용
① MDF는 주로 전면재나 천판재로 많이 사용한다. (문짝, 천판, 서랍전면재)
② 곡면을 가공하거나 홈가공 부재에 많이 사용한다. (문짝홈가공)
③ 무늬목 접착을 위한 대판으로 사용된다.
.......................................................................................................................................
●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파티클보드는 목재, 대나무, 아마, 사탕수수등의 리그노 셀룰로오스 성분을 재료루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파티클로
만든 다음 건조시키고 접착제를 혼합하여 성형시킨 후 열압하여 만든판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초에 최초로 도입되어 초기에는 인정받지 못했으나 지금은 가구용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1) 파티클보드의 장점
① 목재, 합판, MDF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② 합판,MDF와 같이 거의 동일한 구격이 생산되어 가구용 부재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③ 목재의 결합인 수축, 팽창이 거의 없다.
(2) 파티클보드의 단점
①합판이나 MDF에 비해 나사못 유지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② 충격에 매우 약하다
③ 칲이 거칠어 곡면가공하여 도장을 할 수 없다
④ 무게가 무겁다
(3) 파티클보드의 규격
파티클보드의 구격으로는 9mm, 12mm, 15mm, 18mm, 22mm, 25mm등이 있다.
(4)파티클보드의 부재별 가구 적용
① 사무용 가구, 주방가구에 많이 사용한다.( 사무용가구 천판·측판·문짝, 주방가구·천판·측판·문짝·선반)
② 가정용 가구 소재로는 적합하지 않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③ HPM, LPM, Finighing Foil 접착 대판으로 많이 사용한다.
.......................................................................................................................................
●
집성목
집성목은 목재를 가구용재에 알맞게 각재로 절단하고, 고주파를 이용하여 접착 가공함으로써 합판이나, MDF와
같이 판재로 집성한 것을 말한다.
집성목은 목재의 종류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으나 거의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집성목 수종으로는
참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느릅나무, 미송 등이 있다.
(1) 집성목의 장점
① 원하는 규격에 맞추어 목재, 판재를 얻을 수 있다.
② 목재의 홈을 제거하여 집성함으로써 가구용재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③ 다양한 두께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로 목재를 구입하여 집성하지 않아도 된다.
(2) 집성목의 단점
① 목재와 같이 고주파 집성을 하여 접착을 하여도 수축, 팽창, 휨 등 목재의 단점을 극복할 수는 없다.
② 목재의 접합 부분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③ 목재의 목리가 짧게 집성되어 있어 외관의 이미지가 미려하지 못하다.
(3) 집성목의 규격
집성목은 합판, MDF, 파티클보드의 규격과는 달리 규격으로 15t×915×2250mm, 18t×915×2250mm,
24t×915×2250mm, 30t×915×2250mm, 24t×30×2000mm, 18t×30×2000mm
등이 있다.
(4) 집성목의 가구 부재별 적용
① 집성목은 주로 학생용 가구, 식탁, 의자, 침대 등에 많이 사용된다.
② 서랍재, 몰딩재로도 사용한다
③ 생활 소품 가구에 많이 사용한다.
.......................................................................................................................................
|